구글폼 만들기, 구글시트 ( 구글스프레드시트 ) 만드는 방법은?
- IT이야기
- 2022. 8. 12. 10:03
안녕하세요 그 남자입니다. 요즘 많이 사용하시는 구글 폼 및 구글시트는 미리 만들어 두면 굉장히 편하게 사용이 가능한데 아직 제 주변에도 잘 모르는 분들이 계셔서 만드는 방법과 사용 방법을 한번 알려드릴까 합니다. 프로그램 설치를 하는 게 아니기 때문에 본인의 구글 계정으로 로그인된 아이디만 있으면 누구나 만들 수 있으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그럼 직접 한번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구글시트 만들기 방법
아래의 구글 폼과 제작 방식은 비슷합니다. 다만 스프레드시트를 만들어야 하기 때문에 개인을 눌러 이동을 해주면 됩니다. 여기서도 몇 가지 템플릿이 존재하는데 <할 일 목록>, <연간 가계부>, <월간 가계부>, <캘린더>와 같은 다양한 템플릿이 있지만 마음에 드는 게 없다면 직접 제작을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내용 없음>을 누르게 되면 새롭게 창이 하나 뜨는데 여기서 다양한 설정을 해주시면 되겠습니다.
새로운 파일을 만들게 되면 <제목 없는 스프레드시트>가 제작됩니다. 여기서 위와 동일한 방식으로 제목을 적어주고 우리가 평소 자주 사용하는 엑셀과 동일하게 사용을 해주시면 손쉽게 사용이 가능합니다. <파일>, <수정>, <보기>, <삽입>, <서식>, <데이터>, <도구>, <부가기능>과 같은 여러 가지 메뉴들이 있기 때문에 구글시트를 만드는데 상당히 편하게 사용을 해줄 수 있습니다.
다양한 기능들이 있기 때문에 몇 가지 선택 후 간단하게 시트를 작성하게 되었는데 확실히 설치하는 프로그램이 아니다 보니 굉장히 편하게 작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작성 후에는 우측 공유를 눌러 사용자 및 그룹과 공유를 해줄 수 있고 링크를 만들어 입력이 가능한 폼으로 사용을 할 수도 있습니다. 아무래도 오픈된 기능이기 때문에 특정 사용자에게만 보일 수 있게 설정도 가능하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오늘은 구글 폼 그리고 구글시트 만들기를 직접 해보면서 간편하게 사용하는 방법까지 한번 전체적으로 알아보았는데요. 프로그램 설치를 하지 않고도 간단하게 구글 ID만 있으면 제작이 가능하기 때문에 여러분들도 손쉽게 따라 해 보시면서 편한 사용 해보시길 바랍니다.
구글 폼 만들기 (https://www.google.com/intl/ko_kr/forms/about/)
일반적으로 개인이 사용할 때는 개인 Google 설문지로 이동하기 버튼을 눌러서 들어와 주시면 되고 다양한 양식들을 여기서 만들어 줄 수 있습니다. <연락처 정보>, <행사 참석 여부>, <파티 초대>, <티셔츠 신청>, <행사 등록> 등 기본 템플릿이 존재하는데 내가 원하는 템플릿이 없다면 <+> 모양으로 된 내용 없음을 눌러서 직접 만들어 주시면 되겠습니다.
새롭게 만들 폼에는 제목이 정해지지 않았기 때문에 좌측 상단 <제목 없는 설문지> 부분에 제목은 본인이 변경해주시면 되겠습니다. 구글 폼을 처음 만드는 분들이 계시기 때문에 간단하게 기능들을 한번 설명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사진의 설명을 참고해서 보시면 쉽습니다.
가장 최상단의 부분에는 제목과 설문지 내용을 적어주시면 되겠습니다. 여기는 편하게 제목 작성 후 본인의 설문지에 대한 간단한 설명만 적어주면 되기 때문에 크게 손댈 것이 없습니다. 클릭하시고 해당 내용을 적기만 하면 되기 때문에 따로 삭제를 해야 하는 부분은 없습니다.
좌측 중간의 <제목없는 질문>의 경우 본인의 질문에 대한 제목을 적어주고 해당 항목을 옵션에서 정해주면 되는데 이런 식으로 본인이 진행할 예정이거나, 진행하고 싶은 항목을 정해주게 되면 폼에서 원하는 기간을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가 되기 때문에 굉장히 편리합니다.
좌측 중간의 <제목 없는 질문>의 경우 본인의 질문에 대한 제목을 적어주고 해당 항목을 옵션에서 정해주면 되는데 이런 식으로 본인이 진행할 예정이거나, 진행하고 싶은 항목을 정해주게 되면 폼에서 원하는 기간을 선택할 수 있도록 표시가 되기 때문에 굉장히 편리합니다.
만약 객관식 질문이 아닌 다른 질문을 해야 하는 경우라면 우측에서 다양한 선택지가 있습니다. <단답형>, <장문형>, <체크박스>, <드롭다운>, <파일 업로드>, <선형 배율>, <객관식 그리드>, <체크박스 그리드>, <날짜>, <시간>까지 선택을 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한 항목을 선택해서 지정해주면 되겠습니다. 선택 후에는 위에 질문지의 리스트가 변경이 되기 때문에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질문 항목이 더 필요한 경우 우측 하단 <복사> 버튼을 눌러서 항목을 늘려주면 됩니다. 항목들의 정리를 하고 중복이 되거나 필요 없는 항목이 만약 생길 경우 <삭제> 버튼을 눌러서 지워주면 간단하게 해결이 됩니다. 그리고 연락처나, E-Mail 주소 같은 연락이 가능한 항목이 있는 경우 <필수> 버튼을 활성화시켜주면 되겠습니다. 무조건 필수로 지정하지 마시고 중요한 답변을 받을 경우 사용하시면 됩니다.
맨 우측에 길게 자리를 잡고 있는 목록은 위에서부터 <질문 추가>, <질문 가져오기>, <제목 및 설명 추가>, <이미지 추가>, <동영상 추가>, <섹션 추가> 옵션들을 사용할 수 있는 메뉴이기 때문에 여기서 추가로 필요한 작업이 있는 경우 질문을 자유롭게 설정해줄 수 있습니다. 이미지나 동영상도 추가가 가능하기 때문에 폼을 사용하는 유저들에게 조금 더 쉽게 정보 전달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모든 폼을 작성했다면 우측 <보내기> 버튼을 눌러서 전송용 앱을 선택해주면 된다. 메일, 링크, HTML 소스로 변환을 시켜 줄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곳에 편한 사용이 가능한데 링크나 메일을 보통 많이 사용하기 때문에 자주 쓰는 구글 폼이라면 주소만 저장해두고 계속 사용을 할 수 있어서 상당히 편리하니 이번 기회를 통해 직접 한번 만들어 보시면 편하게 사용할 수 있으니 참고해보시길 바랍니다.
' IT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디지털액자 블루캔버스 bluecanvas 신제품 발표회, 집안을 더욱더 집 답게.. (0) | 2017.09.11 |
---|---|
LG휘센 사용해보니 좋은 이유 4가지 및 총평 (0) | 2017.08.24 |
이 글을 공유하기